Q. 원룸건축비 대략 얼마나 들까요?
전주에 약간을 땅을 가지고 있는데 근처에 학교도 몇 개 있어서 학생들에게 저렴하게
임대도 해볼겸 작은 원룸을 지어보려고 하는데 원룸건축비가 대략적으로 얼마나
나오는지 알 수가 없어서 질문을 드려봅니다.
방 한 개당 약 8평 정도를 생각하고 있고 층수는 아직 미정이지만 층당 6개 정도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정도만 가지고 대략적인 원룸건축비를 가산출해보는건 역시 무리겠죠?
땅은 전주에 있고 저는 서울에 있다보니 건설업체도 어디로 정해야 할지 고민이고
아무래도 현지에 있는 업체 의뢰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은데요.
원룸건축비를 산출하는게 이렇게 난해한 일인지 몰랐는데 얼마나 나올지 알 수 있을까요?
A. 원룸건축비에 대한 고민을 하고 계시군요.
현재 말씀하신 내용만으로는 가견적조차 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가견적을 내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가도면 정도는 있어야 하고 단순히 세대 구성수만
감안할게 아니라 주차장과 건축 면적 그리고 소요할 토지 면적이 얼마나 되는지도
알아야 합니다.
원룸건축비는 보통 평당 비용 형식으로 산출해볼 수 있는데 여기에 감리비, 전기인입비,
수도 인입비, 가스인입비 등도 계산에 들어가야 합니다.
알고 보면 상당히 복잡한 일이기 때문에 막연하게 대략 이정도 된다고 말씀드리기가
어려운 부분입니다.
그리고 보유하고 계신 토지가 주거 임대 주택 용도로 적합한지에 대해서도 법규정에
잘 맞는지에 대해서도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합니다.
일단 건축사를 정하는게 급선무인데 금액이 워낙 천차만별이라서 가급적이면 좀 까다롭더라도
확실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업체로 정하는게 좋습니다.
원룸건축비는 기본만 해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섣불리 아는 업체 사람이나
지인에게 맡겼다가 낭패를 보기 십상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플랫폼을 많이 이용하는 추세인데 우선은 업체선정을 할 때 사업자등록증과
건설업면허가 있는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개인이 일일히 모두 확인하기는 힘드니까 플랫폼이 필요한건데 닥터빌드와 같은 플랫폼을
이용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확실한 포트폴리오와 이력이 있는 협력 건축업체들을 3구도 경쟁에
붙여 한 번에 3곳의 견적과 도면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3배의 시간과 비용이 절약됩니다.
또한 시공이 진행되면서 필요한 각종 감독권, 비용 통제권도 모두 가지고 있고 위험관리 또한
직접 하니까 원룸건축비를 대폭 낮출 수 있고 무엇보다 불필요한 비용이 추가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직접 나서서 뛰어다니거나 지인에게 맡기는게 일반적이었는데 첨단시대인 만큼
이런 편의성 높고 효율성도 갖춘 닥터빌드와 같은 곳에서 원룸건축비를 알아보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